2017년 최저시급은 얼마?

반응형

이제 2016년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새해가 다가올수록 기대하고 기다려지는 것이 여럿 있지만,

돈과 관련된 문제가 또 빠질 수 없겠지요.

바로 최저시급입니다.

2017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요?


월급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먼저 최저시급, 최저임금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에는 최저임금제도가 있습니다.

최저임금제도는 국가가 근로자들의 생활안정을 위해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그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인데요.


우리나라의 2009년~2016년의 최저임금과 인상률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2016~2009 년도별 최저임금액 현황 그래프


나라가 어수선하며 경제위축에, 물가는 상승하고 있는 때, 6,030원이라는 돈은 가볍게 느껴집니다.

6,030원씩 일해서 돈을 벌면, 평균 120~140만원이라는 금액이 현실적이 월급일텐데요,

치솟는 월세값과 전세값, 야채값, 가전&생필품 물가 상승, 저렴한 은행 금리를 생각하면 턱없이 부족하죠.

독신으로 살려고 하는 삶의 방식도, 의식의 변화도 있지만 이런 환경적 요인도 큰 요인 중 하나이고요.


하지만 반대의 입장도 안타깝습니다.

솔직히 알바생을 관리해 본 입장에서 느끼는 것은, 

일 열심히 안 하는 알바생을 보면 최저시급도 아까울 때가 있기도 합니다.

또 대표적으로 시급을 잘 안 맞춰주는 곳이 편의점 알바인데요, 이 문제도 참 애매할 때가 많아요.

사장님들 말씀을 들어보면, 요즘에는 알바생도 4대보험을 모두 들어야 한다고 하던데,

알바생은 말 그대로 직원이 아니고 알바생이라 이런 보험비에 대한 부담을 알바생에게 지울 수 없어, 고스란히 보험비에 대한 몫은 사장님, 점주님의 몫이 된다고 합니다.

또 매장이 작은 경우, 판매분에서 회사랑 이익을 나누고 알바생에게 알바비를 다 주다 보면 남는게 하나도 없다는거죠. 매장이 작은 경우는 할 일이 많지 않은 편인데 시급은 시급대로 맞춰주다보면, 알바생 입장에서는 꿀알바이지만, 사장님 입장에서는 피 말리는 경우인거죠.


멘붕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모두에게 좋은 방향을 찾기란 쉽지 않지만,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알바생들은 돈 받고 일하는만큼 최선을 다해 근무하며,

사장님은 알바생이 어떻든간에 최저임금제도에 따라 최저시급을 맞춰주는 마인드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이에 따른 정부의 대책도 반드시 필요하고요!

사회인들은 알바생들과는 또 다른 위치에 있으니까요.



앞에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았는데요!
암튼 2017년 최저시급은 6,470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