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명당자리 고르는 법! 좌석 추천~

반응형

여행을 갈 때 KTX를 많이 이용합니다.

버스보다는 좀 더 편안한 승차감과, 더 빨리 도착한다는 장점 등의 장점을 꼽을 수 있죠.

시간적 여유가 없다면 KTX를 이용하면 좋습니다.

하지만, 버스보다는 가격이 비싸다는 것! 단점이라면 단점입니다.

KTX를 많이 이용해보지 않은 분들은 좌석을 고르는 데도 어려움이 많을텐데요!

KTX에서 명당자리 고르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KTX' 좌석 배치도로 보는 명당 자리 추천!!

1) 상·하행에 따라 순방향과 역방향 선택!

- 당연히 KTX가 나아가는 방향으로 앉을 수 있는 순방향이 좋다.

- 특실의 경우는 모두 순방향이므로 고민할 필요가 없다. 좌석에만 신경쓰자.


2) 도착지까지의 거리를 고려해 선택!

- 금방 내린다면 통로쪽이 좋다. 그게 아니라면 창측이 편하게 갈 수 있다.

- 화장실을 자주 이용하는 편이라면, 역시 통로쪽이 좋을 것이다.

- 자면서 가길 원한다면 창측이 좋다.


3) 창가자리가 좋다면 선택(취향차이)!

- 눈에 보이는 것처럼 통로 안쪽(B와 C) 말고, 바깥쪽이 창측좌석(A와 D)이다.

- 그 중에서도 일반실의 경우, '3, 5, 7, 10, 12 ,15' 를 피하는 것이 좋다. 시야가 가려져 좋지 않다.

- 특실의 경우, '3, 5, 7, 9 등' 홀수 배열의 좌석이 창이 넓고 시야를 가리지 않아 좋다.

- 창가자리라도 테이블이 놓인 자리는 피하는 것이 좋다. 모르는 사람과 마주보며 갈 수도 있다.


4) 소음에 예민하다면 1호, 8호차를 피하자!

- 유아동반석인 경우가 많다.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가야할 수도 있다.

- 1호차의 경우는 시네마열차로, 영화관람을 할 수 있는 열차이다. 시간대에 따라 상영여부의 차이가 있겠지만, 소음에 예민하다면 고려해서 선택해야 한다.

- 반대로, 특실의 경우 2호차가 가장 편한 호차라는 조사가 있다.


5) 노트북, 핸드폰 등 충전할 콘센트가 필요하다면 선택!

- 특실의 경우는 전 좌석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편하게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 'KTX-산천' 좌석배치도로 보는 명당 자리 추천!!

1) 모두 순방향이다!

- 4호차는 예외.


2) 도착지까지의 거리를 고려해 선택!

- KTX와 동일하게 생각하면 된다.


3) 창가 자리가 좋다면 선택!

- 1~2호차의 경우, 홀수 번호 좌석이 창이 넑고 좋다.

- 3~8호차의 경우, 짝수 번호 좌석이 창이 넓고 좋다.


4) 소음에 예민하다면, 4호차는 피하자!

- 유아동반실이기 때문에, 예민하다면 피하는게 상책이다.


5) 노트북, 핸드폰 등 충전할 콘센트가 필요하다면 선택!   

- 특실이 아니어도, 맨 앞과 맨 뒤의 4좌석에는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 4호차의 경우는, '7' 이 들어가 좌석을 빼고는 콘센트가 모두 설치되어 있다.

- 특실의 경우는, 역시 전 좌석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저도 모든 KTX의 열차를 이용해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경험으로 쓴 것은 아니라는 점!

KTX의 경우는 와이파이가 있기 때문에, 장거리를 가는 분이라면 콘센트가 있는 쪽을 선택하면 좋겠네요.

저는 자거나, 창 밖을 보면서 음악을 들으면서 가는 편이라,

아무래도 창측 좌석 중에서도, 창이 넓은 쪽이 좌석이 끌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