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신청 서버시간 확인방법!

반응형

사이트마다 시간이 조금씩 다르게 흐르는데요, 서버마다 서버시간이 다르다고 표현합니다.

수강신청이나 콘서트 예매 등 몇 초가 한 순간을 좌지우지하는 때에는 미리 서버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 수강신청 기간이 곳도 있고 이제 각 대학교마다 수강신청 시즌이 다가오고 있는데요, 대학 서버시간을 체크해서 수강신청에 무사히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서버시간을 확인하는 사이트로 네이비즘과 타임시커를 추천합니다. 간단하게 살표보겠습니다.



네이비즘과 타임시커는 서버시간 사이트로 제일 유명한 두 곳입니다.

둘 다 확인방법도 동일하고 꽤나 정확한 편이지만, 선호도는 성공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하나 하나 서버시간 확인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수강신청 서버시간 - 네이비즘


가장 근접한 사이트 주소를 '네이비즘 주소창'에 입력합니다.(붙복)

그럼 입력한 서버의 시간과 내 PC의 시간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저는 3분 20초가 차이가 나네요.

몇 초를 다투는 일에 분단위 차이는 엄청난 차이죠. 

알림을 설정해 놓을 수도 있습니다. 정각, 1분 전, 2분 전, 3분 전 알림이 가능합니다.


▣ 수강신청 서버시간 - 타임시커

마찬가지 사이트주소를 '타임시커 주소창'에 입력하고 조회합니다.

그럼 서버의 현재 시간과 내 PC의 시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 3분 20초 차이네요.

타임시커는 알림 설정이 더 잘 되어 있습니다. 원한다면 사용해 보세요.


이렇게 네이비즘과 타임시커 서버시간 확인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네이비즘과 타임시커와 PC 시간차이가 동일했는데요, 사이트 주소에 따라 네이비즘과 타임시커에서도 시간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때론 어디에 맞춰 시간을 선택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합니다.

어디가 좋다 말할 순 없지만, 그래도 서버시간을 알고 수강신청에 도전한다면 확률이 더 높겠죠?

원하는 수강신청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